본문 바로가기

전원생활의 즐거움

남천 - 한겨울의 로맨스

 

사계절을 온 몸으로 누리는 꽃나무를 꼽으라면 나는 단연코 남천을 제일의 후보로 내세우리라.

봄에 여리디 여린 연둣빛 새 순이 몸통에서 뻗어나오는 장면을 보면 새 생명의 환희를 엿보게 된다.

여름에는 하얀꽃이 피어나며 잎은 짙어지고 왕성한 생명력으로 자란다.

가을에는 붉게 물들어가는 잎과 줄기를 바라보며 따로 단풍 구경을 하지 않아도 될 정도이다.

겨울에는 더욱 장관이 기다리고 있으니 작고 촘촘하게 붙은 붉은 열매들이

한겨울의 황량한 뜰을 보석처럼 밝혀준다.

 

 

 

 

 

남부지방에 사는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특권이 아니랴!

그 이름마저도 남천(南天)이라 그 얼마나 남국의 하늘을 사랑한 꽃나무인지 알만하다.

일본 교토의 외곽의 치쿠린으로 유명한 아라시야마에 갔을 때 가정집 대문 옆의 손바닥만한 빈 공간을

 몇 그루의 꽃나무에게 내어주었으니 바로 남천과 동백이었다.

일본인들이 얼마나 빨간색을 좋아하는지 놀라움을 금치 못했고 일장기가 연상되어졌다.

 

 

 

 

일본인들은 남천(南天)을 남천촉(南天燭)이라고도 부르는데

열매가 달린 모양이 빨간 촛대를 세워 놓은 것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이 밖에도 잎이 대나무를 닮았다고 하여 남천죽(南天竹)이라고도 부른다.

 

일본에서는 남천(南天)'난텐'이라고 읽는다.

'어려움()이 변하여() 복이 된다'는 의미의 난전(難轉)과 발음이 같아서 생긴 이름이란다..

이 때문에 '전화위복'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다고 하니

일본인들이 이 나무를 좋아하는 구체적 이유가 드러난다.

 

 

 

 

겨울에 내 뜰을 화려하게 수놓는 남천의 붉은 열매는 한겨울의 로맨스다.

이 뜰은 남천 몇 그루로 인해 남국의 정염을 추억하며

겨울의 황량함을 달래고 고적함을 위로한다.

 

 

 

 

쓸쓸하고 외로운 겨울 여인의 초록빛 얼굴에

붉은 루즈 칠한 입술을 연상하면

남국의 하늘이 그리 멀지 않다.

 

 

 

'전원생활의 즐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부가(2)  (0) 2016.12.07
초부가 (1)  (0) 2016.12.05
만추의 끝자락에서  (0) 2016.11.19
이맘 때만 되면  (0) 2016.10.29
꽃을 보려면  (0) 2016.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