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 담화

따오기


 따오기는 아련하게 우리의 추억에 드리워 정서를 자극한다

따오기라는 새이름도 정감적이지만 쉽게 볼 수 없다는 희소성이

애틋한 그리움으로 남아있는 듯하다

 

그리움은 일상성의 대척점에서 아련하게 다가온다

늘 보고 접하는 일상의 건너편에서 기다림이 숙성되는 과정이다

실체가 환히 노출되는 개방미가 아닌 은은한 휘장에 드리운 은둔의 미랄까?


 

우리의 따오기에 대한 애정은 동요 한 곡이 큰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보일 듯이 보일듯이

보이지 않는

따옥 따옥 따옥 소리

처량한 소리

떠나가면 가는 곳이

어디메이뇨

내 어머님 가신 나라

해 돋는 나라

 

노랫말이 매우 슬프고 서정적이다

보일듯 보이지 않은 채 새의 울음소리만 들린다

따오기를 세상을 떠난 어머니 연상을 하는 정한조의 동요에는 울음이 배어있다

 

따오기 /위키피디아


민족의 정한을 승화시킨 시가 김소월의 진달래꽃이라면

따오기는 그런 동요라는 느낌을 갖는다

 

실제의 따오기는 이런 동요 한 곡에 의해 조작된 이미지와는 다르다

하얀 블라우스에 검고 긴 부리, 빨간 댕기를 달고 빨강 양말을 신은 따오기는

고결한 이미지를 풍기지만 생활력이 왕성해 보이지는 않는다

 

국내에서 자취를 감추었다가 복원사업을 통해 숫자가 늘어나 우포늪 등지에서 방사되는 중이다

온 국민들의 관심을 받으며 많은 연구와 지원을 통해 곳곳에서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사랑방 담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시간을 기다리며  (0) 2020.01.27
세뱃돈의 의미  (0) 2020.01.26
뜰에서  (0) 2020.01.16
영혼을 가진 사람  (0) 2020.01.14
나의 소확행  (0) 2020.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