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송의 학자 주무숙은 애련설에서 말한다.
"내가 연꽃을 사랑한 이유는 진흙속에서 났지만 거기에 물들지 않고
맑은 물결에 씻겨도 요염하지 않기 때문이다.
속이 비어 사심이 없고, 가지가 뻗지 않아 흔들림이 없다.
그 그윽한 향기는 멀수록 더욱 맑고,
높은 품격은 누구도 업신여기지 못한다.
그러므로 연은 꽃 가운데 군자라 한다."
예전에 연밥 세 개를 얻은 적이 있어
눈이 자주 가는 곳에 두고 볼 때마다 참 좋아했다.
언젠가는 연밥을
나무로 만들어 봐야겠다는 충동을 불러일으키더니.....
공예 소품으로 멋진 소재다.
겉 모양이 쭈글쭈글하여 더욱 앙증스런
사발 하나씩을 줄기 끝에 달고
연못에 봉긋 솟아오른
여인의 유방 같은 저 모습......
슬쩍 한 번 만져보고 싶다.
구강기로 퇴행해
입술로 힘껏 빨아보고 싶은
무의식적 충동은 부끄러운 것이 아니다.
피부가 팽팽한 윤기나는 연밥보다
말라서 주름진 연밥이 더 내 마음을 끈다.
여건이 닿는대로 집안에 작은 연못 하나를 파고
연꽃을 심어두고 싶다.
포근하다.
연육이 마르고 비우니
아늑한 방에 여백이 생긴다.
저 작은 방에 들어가면 고요하겠다.
소나무와 느티나무로 작업을 시작한다.
소나무는 연습용으로 하고 느티나무 3개는 작품용이다.
씨방이 포근한 공간에서 아늑하다.
일일이 한 개씩을 깎아서 만든다.
연밥에 수분이 많이 빠질수록
노인처럼 쭈글쭈글하고 대칭 구도에서 벗어난다.
허허
마치 선방에 든 선승 같지 않은가?
面壁(면벽) 수행중인 .....
'청곡의 목공방 - 나무둥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禪師들의 禪語 (0) | 2013.10.25 |
---|---|
신축 홍예문(남대문) 천정의 용 (0) | 2013.10.03 |
자한도예 입간판 (0) | 2013.09.10 |
칼을 갈면서 (0) | 2013.09.02 |
나무 접시 몇 점 (0) | 201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