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현성산 산행 어느 겨울...... 위천에서 모임 후 귀가하는 길 강동 마을을 지나 말목골로 가는 길에 현성산 거대한 비탈 바위에 쌓인 백설에 황홀해 했었던 날이 있었다. 오늘 우림 선생과 그 산, 현성산 산행을 한다. 금원산 매표소 조금 못가서 차를 세우고 미폭에서 산을오르며 시작하여 현성.. 더보기
생각만 바뀌면............ 오늘도 걷는다. 어제도 그제도......... 한 열흘 전부터 걷기 시작했다. 하루에 최소한 2시간 이상, 거리는 최소한 10Km 이상...... 내가 나에게 정한 약속이다. 예전에는 감히 시도도 하지못할 일상적인 장거리를 오늘도 즐겁게 걷는다. 생각이 바뀌니까 놀랄만한 변화가 일어나고 나는 작은 .. 더보기
산책로에서 요새 제주도 올레길이 많은 사람들에게 걷기 열풍을 일으키더니 우리 고장에도 산책을 할 수 있는 오솔길을 만들고 있다. 포악스러운 중장비가 아름다운 하천을 망가뜨리며 개발이란 미명으로 교묘하게 위장하는 판에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람들이 즐겁게 산책할 수 .. 더보기
가래올 풍광 덕유산 어느 비탈에서 발원한 가느다란 물줄기가 마치 물의 순례자처럼 월성계곡으로 걸으며 이 골짜기를 스쳐갔던 것처럼 오래 전에 고향을 떠났다가 연어처럼 되돌아와서 물길을 따라 오래도록 걷거나 잠기며 바위를 어루만진다. 물의 발자국을 추적한다. 우리 집에서 200미터 가량 떨어진 냇가의 모습이다. 바위 산 굽이굽이를 돌아가는 물살의 기세가 마치 청년의 패기 같다. 바위는 장구한 세월의 무게에 눌려 부서지고 갈라진다. 강하고 단단한 바위가 이제 늙어간다. 바위는 늙어서 더욱 아릅답다. 자신의 완고한 속내를 드러내고 거친 숨결을 삭히며 세월의 무늬를 새기고 그리면서......... 바위 일가족이 나란히 손을 잡고 서서 사진을 찍은듯 하다. 아직은 한 몸이다. 오랜 세월이 흐른 후에 이들은 분신으로 갈라져 이 .. 더보기
강선대 풍광 강선대(降仙臺)는 신선이 내려와서 머물렀다는 전설을 가진 곳이다. 우리 마을에서 1km지점에 있는 월성계곡에서도 풍광이 좋은 곳이다. 특히 선녀의 피부 같은 화강암 너륵 바위가 펼쳐진 모습은 장관이다. 그 바위 위를 흐르는 물빛이란........ 이런 곳에서 청년 시절까지 보낸 시절은 커다란 은혜요, 축복이었다. 내 감성을 아름답게 물들인 것이다. 결국 나는 고향의 품으로, 마치 연어가 회귀하듯 돌아왔다. 바위 옆을 돌아서 흰 거품을 토하며 발랄하게 흐르는 저 물살은 원기가 넘치는 청년의 모습이다. 물길이 걷는 발걸음은 급하고 경쾌하다. 모암정. 고향에는 정자가 많다. 우리의 전통 사상의 근저에는 선비사상과 풍류사상이 주요한 부분을 차지함은 자명한 일이다. 경치 좋은 곳에 선비들이 시를 짓고, 읊으며 자.. 더보기
가래올 - 강선대의 시냇가 풍광 9월의 마지막 날 강이 좋아서 물길을 따라 개래올에서 강선대까지 1킬로 미터를 다녀왔다. 배낭에 디카 하나 들고.......... 맑은 물, 화강암 암반과 대형 자연석들 이 강을 따라 걸으면 나는 마치 신선이 되는 느낌이다. 바위들을 가만히 바라보면 서 있는 입석(그림의 좌측 뒷면)과 횡석(그림의 우측 돌)과 평석(그림의 좌측 앞면)들이 서로를 보완하며 잘 어울리고 있다. 자연이 만든 절묘한 자연석의 배치이다. 게다가 그 돌들 사이로 흐르는 물길을 보면 역시 자연의 작품은 우리를 환상으로 이끈다. 고숲정에서 가래올 가는 길 중간에 있는 정각 하나, 우리는 육모정이라고 불렀는데 운주정이란 현판이 있다. 풍류를 즐기던 우리 선조들은 풍광 좋은 곳마다 이런 정자를 세웠으니....... 그래서 이 골짜기에는 정.. 더보기
가래올의시냇가 풍광 이곳에 터를 잡고 귀향을 결심하는데 가장 결정적인 유혹은 바로 이 냇가이다. 덕유산에서 발원한 큰 물줄기 두 갈래가 모여서 월성에서 창선을 지나 바로 이곳 가래올로 흐르고 있다. 이곳은 상류여서 물살이 센 편이며 유속도 비교적 빠른 편이다. 화강암 너륵바위가 마치 선녀의 흰 치마폭 같다. 군데군데 커다란 바위들이 자리잡고 있고 흐르는 물은 제 속내를 다 드러내며 흘러간다. 단조로운 하천이 아니라 형상이 다채롭고 물 흐르는 소리도 마치 한 편의 음악을 듣는 것 같다. 나는 틈나는대로 이 강 언저리를 산책하며 때로는 물 속으로 들어가서 거슬러 오르거나 수영을 하거나, 소풍을 나서기도 한다. 이 강과 함께 나는 나이를 먹고 삶이 아름다워지며 생각이 맑고 깊어질 것이다. 사무치게 아름다운 고향의 강이여! 이 바.. 더보기
송계사(松溪寺) 내 고향에 송계사가 있어서 얼마나 다행한 일인지 모른다. 나는 불교 신자가 아니다. 그러나 송계사를 누구못지 않게 아끼고 사랑한다고 자부할 수 있다. 절 초입에 울창한 소나무들을 보면 "소나무는 늙을수록 아름답다."는 말을 되뇌인다. 사찰의 이름 값을 하고도 남는 낙락장송의 송림들을 보는 것만으로도 세속잡사를 잊는다. 송계사가 있음으로 인해 그 청정한 계곡의 솔바람은 그치지 않을 것이다. 그 바람은 우리의 영혼을 청정하게 씻어주리라. 고향의 많은 사람들과 많은 신도들이 기도하고 쉬어가는 곳이라 나도 틈틈이 절에 와서 둘러보며 마음을 씻고 간다. 막역한 벗인 우림선생과 송계사 뒷산을 잠시 오르다가 절에 들렀다.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며...... 대웅전 벽화를 둘러보며 심우도를 어설프게 해석하기도 하고 스님.. 더보기